지도이야기

Home 콘텐츠센터 지도이야기
가치있는 다양한 공간정보와 4차산업 융복합 기술를 통해 글로벌 인류 국가 달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지도의 의의
  • 측량 결과에 따라 공간상의 위치와 지형 및 지명 등 여러 공간정보를 일정한 축척에 따라 기호나 문자 등으로 표시한 것을 말하며, 정보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 편집 및 입력ㆍ출력할 수 있도록 제작된 수치지형도[항공기나 인공위성 등을 통하여 얻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정사영상지도(正射映像地圖)를 포함한다]와 이를 이용하여 특정한 주제에 관하여 제작된 지하시설물도ㆍ토지이용현황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치주제도(數値主題圖)를 포함한다.(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10호)
  • 지도란 시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일정한 약속(축척, 도식 등)에 따라 2차원(평면) 혹은 3차원(구, 공간)에 나타내는 것
  • 우리가 살고있는 지리적 공간을 축소하여 표현하므로 넓은 지역을 한눈에 알 수 있으며, 여기에 시간의 변화를 표시할 경우 시계열적 변화 파악도 가능
  • 지도에 표현되는 내용은 그 지도의 목적.용도에 따라 달라지며 측량 또는 조사에 의해서 취사선택 됨
지도의 역사
  • 삼국시대의 지도

    고구려 영류왕 11년(628년)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면서『봉역도』라는 고구려 지도를 보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 1953년 북한의 평남 순천군에서 발견된 고구려 고분에서 요동성시의 그림지도가 발견
    백제의 지도와 지리에 대한 관심은 <삼국유사>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고, <삼국유사>의 내용으로 미루어보아 <삼국유사>가 편찬되었던 고려시대에도 백제지리지가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음
    신라의 경우 <삼국사기>등에 문무왕 11년(671년) 7월에 김흥순이 당에서 돌아와 신라와 백제간의 경계를 지도에 의하여 살펴보았다고 기록, 통일신라 경덕왕때에는 신라구주현총도(新羅九州縣總圖)를 제작
  • 고려시대의 지도

    의종 2년(1148년)에는 이심, 지지용 등이 송나라 사람과 공모하여 고려지도를 송의 진회에게 보내려다가 들켜서 처벌 <고려사>
    현종 때에는 행정구역을 10도에서 5도 양계로 개편하고『5도양계도』작성, 이는 조선 전기 지도 제작에 많은 영향 <양성지의 상소문에 기록>
    『청구도』의 범례에 의하면 고려말에 유공식의 집에도 지도가 있었으며, 공민왕 때에는 나홍유가 고려지도를 만들어 왕께 바쳤다고 기록
    고려 말에 제작된 나홍유의 『5도양계도』는 조선 태조 5년(1396)에 이첨이 그린 『삼국도』와, 태종 2년(1402)에 이회가 그린 『팔도도』의 기본도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선시대의 지도

    조선 초기에는 세계의 지리에 관한 자료를 과학적으로 수집하여 편집한 지도와 전통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지도로 구분
    조선 후기에는 간접적이긴 하나 서양의 현대적 지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로 전통적인 중화사상의 반발과 수용이 병존하던 시기
    혼일강리역대국도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일 뿐 아니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약 1/160,000 축척으로써 지형.교통.취락 등의 요소를 모두 갖춤과 동시에 산줄기와 물줄기를 사실적으로 그려 넣어 지표의 기복을 충분히 전달하고 있으며 그림기호를 범례로 제시함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대동여지도

    위성영상지도

  • 근현대시대의 지도

    대한제국시대에 최초의 현대식 지도인「대한전도」가 1899년에 발간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지도 중 최초로 경위선을 지도의 좌표로 사용)
    조선 후기에는 간접적이긴 하나 서양의 현대적 지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로 전통적인 중화사상의 반발과 수용이 병존하던 시기
    1909년 토지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지형도.지적도와 같은 근대지도의 제작에 착수하였으나 일제의 강점으로 그 뜻을 이루지 못함
  • 일제시대의 지도

    일제의 조선총독부는 토지수탈과 군사적 목적으로 1914년부터 평판측량의 방법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1/5만 지형도 722도엽과 주요도시지역의 1/25천 지형도 143도엽을 제작
  • 정부수립 이후

    육군본부 산하 측지부대에서 지도제작업무 담당
    1958년 지도제작을 담당하는 최초의 정부기관으로 국방부 산하 지리연구소 설립 → 1961년 내무부 산하 국립건설연구소로 이관
    1961~1963년 1/5만 군용지도(남한지역 350도엽)를 부분적으로 개정한 1/5만 지형도를 제작하여 민수용으로 공급
    고도성장에 의한 지도의 수요 증대와 보다 새롭고 정확한 대축척 지도의 요청에 따라 한.화 협동항공사진측량사업을 추진
    1967~1974년 남한전역의 1/25천 지형도 762도엽 제작 (현대적 지도제작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최초의 지도)
  • 국토지리정보원(구 국립지리원)설립 이후

    1974년 건설부 국립지리원이 설립된 이후 1/5천 지형도를 비롯한 국가기본도 및 국세지도, 연안해역기본도, 토지이용현황도, 위성영상지도, 사진지도 등 각종 특수도를 연차적으로 제작 ※ 2003. 7. 26 : 국토지리정보원으로 기관명칭 변경
    또한, 1980년대 중반부터 지도 자동제작을 추진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국가기본지리정보 계획(NGIS기본계획)」에 의거, 수치지형도 제작사업에 착수하여, 1/1천.1/5천 및 1/25천 수치지형도를 제작하였으며 2001년부터는 수정 및 갱신작업을 추진하고 있음
    2003년부터 수치지형도2.0을 제작, 이를 이용한 1/5천 지형도의 자동제작이 실용화되었으며, 항공사진측량 뿐만 아니라 건설공사 준공도면, MMS(Mobile Mapping System)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최신의 지도를 구축중에 있음
    2015년부터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MMS를 활용한 정밀도로지도 구축 중
    과거 종이지형도에서 수치지형도로의 변화를 거쳐 객체단위 데이터베이스로 전환

    1974년 여의도 부근

    2001년 여의도 부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