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있는 다양한 공간정보와 4차산업 융복합 기술를 통해 글로벌 인류 국가 달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지도의 구성
- 도엽명(지도의 명칭) : 지도의 상단 중앙에 있는 고딕체의 도엽명(통상 최대 도시명 사용)
- 도엽번호 NJ 52 -7 서울
<서울 1/250,000 지형도 및 도식>
- N : 북반구를 뜻함
- J : 북반구를 위도 4도마다 구획하여 알파벳으로 차례로 붙임
- 52 : 경도 180도선에서 동으로 6도마다 구획을 그어 숫자를 붙임
- 7 : 가로3, 세로4 등분 하여 왼쪽상단부터 번호를 매겨 7번째 구역
- (서울) : 도엽명
- 축척
- 실제의 거리나 면적을 지도상에 나타낸 비율(비례법과 도표로 표기)
- 기록할 때에는 "1:25,000", "1:50,000" 이라고 기록하고, 읽을 때에는 2만 5천분의 1, 또는 5만분의 1로 읽음
- 도북 : 지도의 북쪽
- 범례
지형도의 외도곽 아래쪽 반 정도에 지도의 주요 기호가 표시되어 있고 그 우측에 시가지, 수부 및 특수 지형의 기호가 별도로 표시
-
서울 1/250,000 지형도 및 도식
지도의 체계
- 좌표
위치의 기준으로 경선과 위선은 지구상의 각 지점을 정확하게 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세계 공통으로 쓰는 지도상의 선
- 경도: 영국의 그리니치천문대를 지나는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하여 어떤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까지 이루는 각도, 본초자오선을 기준(0°)으로 동쪽과 서쪽으로 각각 180°씩 나누어 동경 180°까지와 서경 180°까지의 범위
- 경선(경도선): 남·북극을 연결하는 선으로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기준 경선(본초 자오선)으로부터 동.서로 180도 나누어 동경, 서경으로 가름함
- 위도: 적도면의 중심에서부터 북극 또는 남극까지의 방향의 각도, 적도로부터 시작하여 남극점까지 90°, 북극점까지 90°씩 나뉨
- 위선(위도선): 적도를 기준을 하여 적도와 평행한 선으로 남.북으로 90도씩 나누어 남위.북위로 나눔
- 좌표계
직선ㆍ평면 위 또는 공간 내에서 어떤 점의 기하학적 관계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입한 체계
- UTM: 구역(zone)의 고유번호 숫자와 가상적인 원점으로부터 북과 동으로 떨어진 거리를 m로 나타내는 좌표계
- UPS: 지구의 양 극점 부근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 UTM 좌표계에서 나타낼 수 없는 북위 84°보다 북쪽과 남위 80°보다 남쪽 지역을 나타내는 좌표계
- TM: 대한민국 전국을 대상으로 경도 기준으로 2도씩 네 구역(서부·중부·동부·동해)으로 나눠 표현한 평면직각좌표계
- UTM-K: 대한민국 전국단위의 연속적인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하여 전국을 하나로 표현한 단일평면직각좌표계
- 세계측지계: 지구를 표현함에 있어 여러 타원체값이 존재함으로써 각 국가마다 혼란이 되어 사용하던 것을 통일된 기준계를 정의한 측지계
- 동경측지계: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을 할 때 지형도와 지적도 작성을 위해 당시 일본의 것을 그대로 연결하여 사용한 측지계, 세계측지계 기준과 남동 방향으로 약 365m 차이
- 지도투영
곡면인 3차원 지구상의 점을 2차원 평면지도로 전개하는 방법
- 원통도법: 지구본을 원통으로 둘러싸고 투영하여 이를 평면으로 전개하는 도법, 적도 지역에 적합
- 평면도법: 지구본과 투영면이 접하는 점을 중심으로 이를 평면으로 전개하는 도법, 극지방에 적합
- 원추도법: 지구본에 접하는 원뿔에 투영한 후 이를 평면으로 전개하는 도법, 온대 지역에 적합
-
지도투영법의 종류
- 기본 편차각
- 도편각: 진북과 도북의 차이
- 도자각: 도북과 자북의 차이
- 자편각: 진북과 자북의 차이
지도의 원점
- 대한민국 경·위도 원점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 (원천동 111번지) 국토지리정보원내 위치
- 경도 : 동경 127°03'14.8913"
- 위도 : 북위 37°16'33.3659"
- 원방위각 : 165° 03' 44.538"(원점으로부터 진북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측정한 우주측지관측센터에 있는 위성기준점 안테나 참조점 중앙)
- 대한민국 수준원점
-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 253번지(인하공업전문대학내 위치)
-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26.6871m
-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근경
-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원경
-
대한민국 수준원점 근경
지도의 표현
- 수치지형도의 분류
1. 교통(A): 도로경계, 차도경계, 도로중심선, 인도, 철도, 자전거도로, 교량 등
2. 건물(B): 건물(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도청, 시청, 백화점, 공장 등), 담장
3. 시설(C): 댐, 부두, 선착장, 제방, 수문, 암거, 우물, 관정, 분수, 온천, 맨홀 등
4. 식생(D): 경지계(논, 밭 등), 지류계(가로수, 황무지 등), 독립수(활엽수, 침엽수 등), 목장(목초지 등)
5. 수계(E): 하천경계, 하천중심선, 실폭하천 유수방향, 호수/저수지, 폭포 등
6. 지형(F): 등고선, 표고점, 성/절토, 옹벽, 동굴입구
- 등고선 : 같은 표고를 가진 지점을 연결한 곡선으로 주곡선, 계곡선, 간곡선, 조곡선으로 구분
-
- 1/5천
- 계곡선 : 25m
- 주곡선 : 5m
- 간곡선 : 2.5m
- 조곡선 : 1.25m
-
- 1/1만
- 계곡선 : 25m
- 주곡선 : 5m
- 간곡선 : 2.5m
- 조곡선 : 1.25m
-
- 1/25천
- 계곡선 : 50m
- 주곡선 : 10m
- 간곡선 : 5m
- 조곡선 : 2.5m
-
- 1/5만
- 계곡선 : 100m
- 주곡선 : 20m
- 간곡선 : 10m
- 조곡선 : 5m
- ※ 계곡선 - 굵은 실선, 주곡선 - 가는 실선, 간곡선 - 가는파선, 조곡선 - 가는점선
- 7. 경계(G): 행정경계(국경, 시계, 군계 등), 수부지형경계(갯벌, 모래, 습지 등), 기타경계(국가공업단지, 개발제한구역 등)
8. 주기(H): 도곽, 기준점, 격자, 지명, 산, 산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