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관소개
-
- 사업소개
-
- 콘텐츠센터
-
- 알림
-
- 민원서비스
-
- 정보공개
-
- 바로가기
-
- SNS
-
연혁
Home
기관소개
연혁
연혁
2010년대
-
2018
- -
- 국토위성센터 건립 착수 및 기술·인프라 구축
- 자율주행차 상용화 지원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제작
- 국가지오이드모델 고도화를 통해 GNSS 높이 측량 실용화 마련
-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지역 1/5천 제작
- 지진예방을 위한 지각변동감시체계 착수
- 해외 유관기관 장기연수(1인), MOU 대상국 및 관련국 연수생 확대(10개국, 12개 기관, 33명)
- 해상도 25cm 항공사진 전국 공개
-
2017
- 12
- 2017 지오이드 모델 및 육·해상 수직기준 연계모델 구축
- 국가지도집 초·중등판 (국·영문판) 발간 및 배포
- 통합기준점 전국 4,700점 설치
- 유엔총회 대응전략 연구 추진(UNCSGN 결의문 207개 번역)
- 10
- 지도제작 자동화 방안 연구 및 파생체계개발 사업 착수(인터넷지도 포함)
- 09
- 「지형·지물 변동관리시스템」 확대로 세움터, 새주소 등 유관기관 실시간 연계체계 및 지도반영 본격화
- 정밀도로지도 활용성 증대를 위한 협의체 개최 (1차: 공공기관 2차:민간기업)
- 독자 기술로 VLBI 정밀 위치성과 분석
- 한-아프리카 포럼 성과에 따른 제1차 한-AU 정책협의회 참석
- 08
- 정밀도로지도 연계 효율화 연구 및 구축·갱신 사업 착수
- 국토기본정보 및 국가관심지점정보 구축 사업 착수
- 국토정보 플랫폼 품질개선 추진
- 2차 기술워크숍 참석 및 ’18년 대상 지역 탄자니아 업무협의
- 07
- 26개 일반학교 재학 중인 시각장애학생 대상 점자지도 배포
- 아프리카 자원공간정보 구축 시범사업 시작(2차년도)
- 06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지 도 구축 사업 착수(4차년도)
- 05
- 전국 6대 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의 점자지도 제작
- 전국 맹학교(14개), 특수교육지원센터 등 160개 기관에 배포
- 아프리카 자원공간정보 시범구축 장기계획 수립(차관 방침)
- 04
- 국가측지기준체계(ITRF) 적용방안 수립 연구
- 03
- 국토지리정보원 공간정보 전면 무상으로 전환
- 02
- 정밀도로지도 활용성 증대를 위한 세미나 개최
- 국립재난연구원 생활안전 지도에 국토지리정보원 POI 정보 연계
- 아프리카 자원공간정보 구축 시범사업 완료(1차년도)
- 01
- VLBI를 국가기준점에 적용을 위한 기반연구(2차년도)
- 다국어 국가관심지점정보 관련 민간기업(카카오 등) 업무협력 추진
-
2016
- 12
- 정밀도로지도 점군(LAS) 데이터 공개 및 벡터데이터 온라인 제공
- GNSS데이터 통합센터 운영시작
- 한-잠비아 자원공간정보 MOU 체결과 제4차 한-아프리카 포럼 연계 추진
- 높이성과가 없는 통합기준점의 높이측량 시작
- 신규 관측소 1개소 포함 86개 위성기준점 성과고시
- 국제지명활동 강화를 위한 전략 연구(한국의 지명책자 발간 및 배포)
- ’16년 국제VLBI 공동관측 수행(총 51회)
- 10
- 국가인터넷지도 및 국가 관심지점정보 갱신 사업 추진
- 09
- 자율주행차 지원 등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고도화 방안 연구 및 시범구축 사업 시작
- 자율주행차 활용성 증대를 위한 산·학·연 협의회 개최
- 08
- 「2016 북극지역 측량 및 지도제작」 사업 추진
- 국토정보 플랫폼 고도화 추진
- 국가인터넷지도, 측량기기 성능 검사 등 6개 시스템을 추가로 통합
- 항공사진 민원서비스 개선 및 구지형도 통판 서비스 (오프라인 → 온라인)
- 07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지 도 구축 사업 착수(3차년도)
-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활용가능한 점·묵 접목기법 추가하여 국토지리정보원 예규 2016-100호 「점자지도제작 작업 규정」일부개정
- 무상개방 대상을 1:1,000 수치 지도로 확대
- 06
- 서울대 자율주행차 시연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점군데이터 제공
- 05
- 아프리카 자원공간정보 구축 1차 잠비아 시범사업 착수
- 04
- 정밀도로지도 관련 산업계(민간 기업, 협회, 공단 등) 회의 개최
- 03
- 공간정보 무상개방 시행에 따라 국토정보 플랫폼 서비스 개시
- 02
- 시범구축 사업 준공에 따른 벡터데이터 성과 제공
- 01
- 국가기본도 고시주기의 2주 단위 지정과 국가인터넷지도, 온맵 동시 수정 시작
- VLBI를 국가기준점에 적용을 위한 기반연구(1차년도)
-
2015
- 12
- 新국가위치기준체계 마련으로 2020년 7,000점 완료 목표 추진
- 전국 16개 맹학교 등에 서울시 점자지도, 대한민국 점자지도, 세계점자지도(낱장) 배포
- ’15년 국제VLBI 공동관측 수행(총 50회)
- 대한민국 지명의 올바른 표기와 이해(국제적 표기 지침서 2판 제작)
- 위성기준점 데이터 통합체계 구축
- 북한지역 공간정보 구축 중기계획 수립(~‘18년)
- 글로벌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GNSS인프라 진단연구
- 85개 위성기준점 성과고시(28개소 높이값 고시)
-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온라인 서비스 제공
- 국가기준점 추가 중력측량 (2,120점) 실시(~‘17년)
- 국가지도집 자연(2권)· 인문환경(3권) 국·영문판 발간·배포(국문 500부· 영문판 1,000부) (15~16)
- 09
- 자율주행차 지원 등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구축방안 연구 및 시범구축 사업 추진
- 08
- 「2015 북극지역 측량 및 지도제작」 사업 추진
- 07
- 서울맹학교 등 4개 기관 대상 점자지도 시각장애인 사용성 평가 실시
- 06
- 국토정보 통합 플랫폼으로 서비스 통합 구축 추진
- 05
- 2015년 제3차 규제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 「자율주행차 상용화 지원방안」 마련
- 국가인터넷지도 및 국가관심지점정보 확대 구축 사업 추진
- 2015년 서울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 (80여 개국 약 6,000명)의 국제적 행사에서 세계최초 점자안내지도 배포
- 04
- 아프리카 연합의 AMGI 프로젝트 참여요청
- 03
- 국가인터넷지도 및 국가 관심지점정보 대국민 공개, 무상제공 시행
- 표준화된 점자지도 제작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 예규 2015-84호 「점자지도 제작 작업 규정 제정」
- 시각장애인 위한 지도서비스 서울지역 시범제작 및 중·장기 추진계획수립 (2차년도)
- 격자기반 국토통계지도 기반 DB 온라인 연계 및 대국민 서비스
- 01
- 한반도 측지VLBI네트워크 구축기반 연구(1차년도)
- UN의 국토지리정보원 참여 요청
-
2014
- 12
- 지구조석과 기압에 의한 지표변위 모델 연구
- 「지형·지물 변동관리시스템 개선」 사업으로 유관기관 지형·지물 변동 자료 자동 수집 실시
- 전국 13개 맹학교, 44개 점자도서관 대상 대한민국 점자지도집 배포시작
- 정사영상 제작사업 추진계획 수립 및 전국 정사영상 통합DB 제작
- 북한지역 지형도, 위성지도, 북한지도집 일반 공개
- 유엔지명회의 대응방안 마련 연구(국내학술회의 개최 등)
- 국가지도집 영토와 역사(1권) 발간·배포(국문 500부·영문판 1,000부)
- 07
- 월드뱅크의 아프리카 자원공간정보사업
- 06
- 기관별 전문가 대상 전문위원회 구성·운영
- 05
- 국가관심지점정보 및 인터넷지도 기반 구축 사업을 통해 국·영문, 색각 이상자용, 저시력자용, 백지도 구축
- 국내·외 사례조사 및 의견수렴 통해 사회적 약자 맞춤형 도식기호 구성 등의 기준 마련과 특수지도 제작 사업 착수(1차년도)
- 시각장애인연합회, 맹학교, 점자도서관 등 협의체 구성·운영
- 03
- 국제VLBI(IVS) 관측 본격 참여
- 「북극지역 공간정보 구축 사업」 시작에 따른 「2014 북극지역 측량 및 지도제작」 사업 추진
- 국가인터넷지도 구축 및 서비스 추진계획 수립
- 02
- 「북극 공간정보 구축계획 수립 (2014~2018)」 장관방침
- 영문판 수치지도 (1:25,000) 신규 공급
- 국토조사 발전계획 수립 및 플랫폼 기반 구축
- 01
- 우주측지관측센터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연구
- 국가기본도 월 단 위 고시주기가 주 단위로 단축
-
2013
- 03.23
- 정부조직 개편(국토해양부→국토교통부) (대통령령 제24443호)
-
2012
- 12.31
- 간행물 등의 작성 및 관리기준 폐지(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2-1672호)
- 12.31
- 측량기술자 등에 대한 행정처분 경감기준 폐지(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2-1673호)
- 12.06
- 공간정보의 공급에 관한 규정(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1504호)
- 12.05
- 국토지리정보원·국립전파연구원 상호협력 양해각서
- 11.15
- 고객지원센터 운영규정 제정(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44호)
- 11.12
-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지리지 제작규정 제정(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43호)
- 10.15
- 소축척지형도 도식적용규정(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2-1225호)
- 09.05
- 측량·지도제작 개발도상국(11개국 16명) 공무원 연수 실시
- 12.08
- 지도 및 기타 자료 편집자를 위한 지명의 국제적 표기 지침서 제작 및 UN제출
- 07.17
- 국토지리정보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 양해각서
- 07.17
- 인문지리정보 통합기반 구축 작업규정 제정(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42호)
- 06.01
- 국토지리정보원 용역적격심사기준(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41호)
- 04.23
- 국토지리정보원 기본운영규정 (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40호)
- 04.16
- 국제VLBI기구(IVS) 가입
- 04.06
- 지명업무 장단기 추진계획 수립
- 03.27
- 우주측지관측센터 준공
- 02.17
- 세계지도 제작 및 관리지침(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38호)
-
2011
- -
- 위성기준점 5점 추가설치(총 57점)
- -
- 국가기본도 전국 2년 주기 수정계획 수립
- 12.05
- 지형도 도식적용규정(국토지리정보원 제2011-971호)
- 10.31
- 한·이스라엘 공간정보 및 지도제작분야의 기술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 10.25
- 한·남수단 공간정보 및 지도제작분야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 10.24~26
- UN-GGIM 창립총회 (The First High Level Forum on United Nations Global Geographic Information Management) 개최
- 10.13~28
- 측량·지도제작 개발도상국(16개국 21명) 공무원 연수 실시
- 07.20
- 한·몽 측지측량 및 지도제작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
2010
- -
- 전국 연속 수치지형도 제작 착수
- 11.28
- 수치지형도 작성 작업규칙(국토해양부령 제302호)
- 6.30
-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업무협력 협정서
- 6.10
- 한·베트남 지리정보 및 지도제작분야 기술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 5.20
- 세계지도 제작 및 관리 지침(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17호)
- 2.1
- 한·알제리 지리정보 및 지도제작분야 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 1.13
- 국가지명위원회 설치 및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