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는 국토정책 수립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인프라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종이지도와 같은 2차원 지도에서부터 입체적인 3차원 공간정보 등은 물론다른 정보와의 융복합 활용이 용이한 객체단위 DB형태의 국가기본도와 국가인터넷지도, 국가관심지점정보(POI) 등의 다양한 형태의 지도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국가인터넷지도: 국가기본도를 기반으로 공공행정정보를 융복합하여, 별도의 가공 없이 손쉽게 인터넷 상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배경지도
추진현황
- (2014) 국가기본도 이용편의성 개선, 공간정보 산업 지원 등을 목적으로 국가인터넷지도와 국가관심지점정보 신규 구축 및 서비스
- (2015~2017) 국가인터넷지도 및 국가관심지점정보 갱신 및 확대 구축
* 인터넷지도 4종 신규 구축, 데이터 모델 고도화, 시계열 관리, UFID 부여 등
- (2019) 국가인터넷지도 타일체계 전환(TMS→WMTS)
- (2020) 국가인터넷지도 및 국가관심지점정보 서비스
- (2021~) 국가인터넷지도 디자인개선, 국가관심지점정보 분류체계 정비, 별칭 관심지점정보 DB 추가구축 구축 등 서비스 개선 추진
국가인터넷지도 구축절차
기초자료 수집
국가기본도, 확장 DB
데이터셋 구성
레이어, 맵디자인, 표출 규칙 등 구성
인터넷지도 타일링
이미지 타일화 (PNG)
맵타일 검사
표출순서
주기잘림
폰트오류
심볼오류
타일 업로드 및 반영 확인
테스트서버에 업로드하여 최종 검수
제공 방법 :
- 오픈 API :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인증사용자 및 기관등록 후 인증키를 발급받아 활용 가능
- 데이터 무상 제공 : 신청서 작성 → 데이터 수령
국가관심지점정보(POI): 자연 혹은 인공 지형·지물에 명칭을 부여하여 점형으로 객체화한 데이터로, 명칭, 좌표, 분류 코드 등으로 구성(Point of Interest 또는 Places of Interest)
POI 구축 수량: 약 673만건
국가관심지점정보 구축방법
기초자료 수집
국가기본도
지명 DB
외부 DB
자료 가공
주소 정제
명칭 정제
지오코딩
자료 구축
관심지점정보(표출용, 다국어, 별칭 등) 구축
품질 검수
완전성
논리일관성
위치정확성
주제정확성
제공데이터
국가인터넷지도 및 국가관심지점정보 제공데이터
구분
포맷
국가인터넷지도
데이터 셋
SHP
타일맵(6종)
PNG
디자인가이드
XLS
아이콘
PNG
폰트
TTF
환경설정
MXD, QGS
스타일 파일
SLD
국가관심지점정보
전체POI
GDB, SHP
표출용POI
GDB, SHP
온맵
모든 연령층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1:5,000, 1:25,000, 1:50,000 등의 대부분의 지도를 PDF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공
활용 분야
- 등산지도, 자전거 코스지도 등 나만의 맞춤지도 제작 및 공유
- 사진을 첨부한 여행지도 제작
- 주요 관광지의 관광지도
- 지도 서비스 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