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71최신실시간주식DB전화ㅡ^➡️텔레darknessDB|ㅡ%’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는 총 39건입니다.
-
- [국문] >사업소개>지도제작>지도제작
- 도시지역(약 11%) 구축
추진절차
- (지자체 선정) 매년 각 지자체의 수요를 조사하여, 대축척 수치지형도의 활용도가 높고 제작이 시급한 지자체를 우선 선정
- (물량확정) 지자체에서 제출한 사업대상지 중 도심지역이나 택지 위주로 대상지역을 협상하고, 협상결과에 따라 사업설계서 작성
- (협약체결) 협상에 의해 확정된 사업물량, 투입예산 및 사업 추진사항 등을 명시하여 사업추진을 위한 협약체결
- (사업추진) 지방비 분담금을 납입 받아 발주·계약하여 사업 추진
- (사업준공) 지자체에 성과 제공 및 공개용 수치지형도 대국민 서비스
국가기본도 및 1/1,000 수치지형도 비교
국가기본도 및 1/1,000 수치지형도 비교
구분
1/5,000 국가기본도
1/1,000 고정밀 전자지도
전자지도
구축현황
전 국토
도시지역 일부(전 국토의 약 11%)
갱신
도시 비도시 1년 주기
수시 (평균 5년∼7년)
정밀도
등고선 간격 5m, 최대오차 3.0m
등고선 간격 1m, 최대오차 0.6m
정보량
도로·건물 등 주요 지형지물
보도·가로수·정류장 등 세부 지형지물 추가
활용
도시계획, 엔지니어링, SOC 설계
IoT 기반 시설관리, 교통, 방재
제작절차
1:5,000 국가기본도 제작
국가기본도: 전국을 대상으로, 1:5000 이상의 축척으로 제작되고, 규격이 일정하고 정확도가 통일된 것
전국을 대상으로 모든 정보를 수정하고 대형 건물, 도로 등의 중요 정보는 수시로 수정
도엽 수 : 17,661도엽
표현정보: 교통·건물·지형·수계·식생·경계 등 8종의 지형지물로 분류
활용분야
- 104개 법률, 33개 기본·종합 계획과 각종 인·허가 업무에서 국가기본도를 이용하도록 규정
- 교통, 환경 등 13개 분야 약 324개의 각종 시스템의 기본지도로 활용
- 카카오, 네이버 등 민간 포털,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주로 이용되며, 도로 등 각종 SOC 사업에 필요한 설계업무에서 활용
- 인터넷 및 모바일 분야에서는 국가기본도 단순 활용보다는 길찾기(네트워크 정보), 부동산 정보 등을 융·복합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에 활용
추진현황
- (‘95∼) 1/5,000 수치지형도 제작(NSDI 기본계획)
- (‘02∼) 전국단위 국가기본도 수정계획 최초 수립(5년 주기)
- (‘07∼) 전국단위 국가기본도 수정주기 단축(‘07:4년→‘11:2년→’13:상시)
소축척 지형도 제작
지세도: 지세판단에 필요한 지표면상의 상황과 행정구역경계 및 주요 지명 등을 표현한 지도
대한민국전도: 반도 전체를 표현한 지도로서 대한민국 영토에 대한 위치, 교통망 및 행정구역 등을 축척에 맞춰 판독할 수 있도록 제작한 지도
세계지도: 우리나라의 정확한 위치와 영토를 대내외적으로 인식시키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제작·배포하는 지도
- 투영법 : 로빈슨, 메르카토르, 에케르트IV(‘14), 빈켈 · 트리펠(’14), 구드홀몰로사인(‘14) 투영법의 국문 세계지도 제작
- 다국어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등 5개 국어로 세계지도 제작 (로빈슨 투영법)
소축척 지형도 제작 현황
지세도
대한민국 전도
세계지도
1973년 ~
1965년 ~
2006년 ~
JPG, PDF, DXF, DWG 등
JPG, PDF, DXF, DWG 등
JPG, PDF, DXF, DWG 등
1/250,000
1/1,200,000 및 1/2,000,000
1/33,000,000 (로빈슨)
1/40,000,000 (메르카토르)
추진현황
- (‘73~’00) 지세도 13도엽 제작 시작(‘73) 및 북한지역 추가 제작(’00)
- (‘09~’10) 남한지역 지세도 수정 및 접근불능 사업 통한 북한지역 축소편집 갱신
- (‘11) 대표 투영법 선정 연구 통해 로빈슨 도법의 세계지도(3,300만) 제작
- (‘12) 소축척 지도도식 개선 및 6개 언어의 다국어 세계지도 제작
- (‘13) 1/200만 대한민국 전도 제작(국립해양조사원 공동제작)
- (‘14) 소축척지형도 도식적용규정 개선 및 다양한 투영법의 세계지도 제작
- (‘15~’17) 북한지역 최신자료 적용을 포함한 소축척 지도 수정 갱신
- (‘20) ’18~‘19년의 국가기본도, 접경·접불 공간정보 등 이용하여 수정 갱신
- (‘21) 소축척지형도 디자인 개선 및 최신의 국토변화정보 활용
- (‘22) 대한민국전도 및 세계지도 전국초등학교(약 6,300여 곳) 배포 등
- (‘23) 소축척지형도 개선방안 연구 및 소축척지형도 수정
- (‘24) 교육용백지도 전국 초등학교 배포 및 대한민국전도 디자인공모전 실시
[지세도]
[대한민국 전도]
[세계지도]
종이지형도 도엽 수
종이지형도 제작 현황
1:25,000
1:50,000
1:250,000
924도엽
263도엽
26도엽
사회적 약자 지원을 위한 지도제작
점자지도: 지형도의 주요 지형·지물 등을 돌출된 선과 양각면, 음각면, 점자, 촉지기호 등을 활용하고 간략하게 표시하여 만져서 알 수 있는 지도
점자지도 추진현황
색각이상자용 지도: 색맹, 색약 등 색각이상자들이 지형·지물을 식별하는 데에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지도
색각이상자용 지도 추진현황
- (‘14) 전도·주변도·세계지도·인터넷지도 중심으로 색각이상자용 지도 연구 및 최초 제작
- (‘20) 색각이상자용 지도제작 의무화를 위한 「공간정보관리법」 개정안 국회 발의
- (‘21) 색상값 연구 및 색상값 변환시스템 개발
- (‘22) 관련 규정 개정 및 소축척지형도 기반의 색각이상자용 지도 서비스 추진
[전맹자 (점자)]
[저시력자 (묵자)]
[적색각이상자용 지도]
[청색각이상자용 지도]
[녹색각이상자용 지도]
연안해역 기본도
연안지역에 대해 1:25,000지형도에 수심, 저질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여 제작(~‘17)
연안해역 기본도 제작 현황
지도종류
종이지도,수치지도
지도형식
데이터 포맷
DXF(수치지도)
좌표계
GRS80/중부
축척
1:25,000
레이어
수심, 저질, 지층, 해저지형 등
제작지역
서,남해 연안(인천,경기,충남,전북,전남)
수심 50m 이내 조수간만 차 큰 지역 우선제작
제작현황
‘77~ ‘08년 지리원 직접제작(168도엽, 종이지도)
‘10~ ‘17년 해조원 연안해역 정밀조사 성과기반 지도 제작
(82도엽, 종이·수치지도)
[연안해역 기본도]
북한지도
도엽수 : 1,719도엽(1:5,000), 988도엽(1:25,000)
[평양의 정사영상]
[평양의 1/25,000 수치지형도]
-
- [국문] >사업소개>공간영상정보 구축>항공사진 촬영
- - 종중복 60% 이상
- 횡중복 30% 이상
고도
- 약 2,000 ~ 4,000m
활용처
(정책) 각종 행정업무(세무, 보상, 민원, 판독, 국유재산관리)에 활용되고 있으며, 소송, 단속(불법건축물, 수사자료, 판독) 및 홍보자료, 지형확인, 도시계획 업무 등에도 활용
(민간) 각종 시스템 탑재, 인터넷 포털 지도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일반 국민들은 민원서류(법원 제출용)로 활용
-
- [어린이] >소개해요>하는 일
- 도시지역 약 11% 구축, 인허가 등 지자체 행정정보를 활용하여 지자체 맞춤형 대축척지형도
1:5천 국가기본도
모든 공간정보에 대한 위치와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전 국토를 대상으로 구축한 국가의 기본이 되는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
1:25만 지세도
지표의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국토계획, 광역정책계획, 교육, 관광, 지리정보의 이해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성격을 가진 지형도
1:120만 대한민국전도
국토의 위치, 지세, 교통망 및 행정구역 등의 공간정보를 축소하고 정확한 정보의 판독이 용이하도록 1장으로 제작한 것으로 주로 정책, 교육 및 관광 등의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국문과 영문으로 제작한 지형도
1:500만 대한민국주변도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주변 국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국의 위치, 지세, 교통망 및 행정구역 등의 공간을 축소하고 정보의 판독이 용이하도록 1장으로 제작한 지도
1:3,300만 세계지도
독립국가로 인정된 세계 모든 국가의 경계, 지명 등을 표시한 지도
국토조사란?
국토조사는 여기 저기 흩어져 있는 국토와 관련된 자료를 모아 체계적으로 쌓아 두고 국토와 관련된 계획과 정책을 세우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일이랍니다.
국토조사 DB 구축
각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제반 국토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국토관련 계획·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국토와 관련된 통계자료를 DB화하여 국토조사연감 발간 및 웹서비스를 실시함으로써 일반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한국지리지 발간
지속적으로 변모해온 우리국토의 자연적 인문적 실태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하여 이를 일반 국민이 친숙하게 읽을 수 있도록 지리지로 편찬
지명정비와 DB 구축
지도표기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생성, 변경, 소멸되는 자연지명 (산, 고객, 마을 등)을 연차적으로 정비하여 표준화하고 문화적, 역사적으로 재미있고 생생한 자연지명에 대한 유래를 일반인에게 제공
지리정보란?
행정구역, 교통, 해양 및 수자원, 지적, 측량기준점, 지형,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등의 자료를 말합니다.
기본지리정보 구축 대상
국가기준점 체계정비
지구중심자표계로의 변환과 GPS에 의한 측량기준점을 정비하여 국가기준체계 구축한국지형에 맞는 지오이드 모델을 산출하고, 기타 필요한 특수측량을 실시하여 성과를 구축(한·일 공동 초장기선간섭 측량, 천문측량,중력측량, 지자기측량 등)
측량기준점 : 국가기준점 체계 정비결과 활용
교통 : 도로, 철도, 해운, 항공, 항만 등의 주요 교통지리정보의 구축
행정구역 : 육지와 해상의 행정구역 경계와 명칭을 나타내는 정보의 구축
시설물 : 토지에 정착한 주요 건물 등 인공시설물을 대상으로 비용/효과분석에 따라 구축
지적 : 필지경계선과 지번 등의 지적정보 구축
해양 및 수자원 : 해양분야는 관할 해역을 대상으로 해저지형, 해안선 성상 등을 포함한 해양기본정보와 연안해역 기본정보를 조사 · 구축수자원분야는 국가 및 지방에서 관리하는 하천망(경계포함)과 하천시설(댐 포함) 등을 포함하는 수자원 정보를 구축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 위성영상과 항공사진을 활용한 수치정사영상(사진)을 전국 구축시범연구 및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유지관리, 정확도 확보계획 등을 수립하여 추진기본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은 지리정보분과위원회 중심으로 추진
-
- [국문] >콘텐츠센터>지도이야기>지도제작과정
- )비행방향으로 60% 중복촬영
(2)인접방향으로 30% 중복촬영
항공사진촬영
항공사진제작
항공사진 종류별 항공사진제작 비교 설명
구분
아날로그항공사진
디지털항공사진
축척
지상고도비
지상표본거리
성능
필름: 0.015%이하 신축율
전정색 필름 원칙
영상데이터: 일반적인 영상포맷 사용, 손실 없이 저장, 노이즈 최소화, 고화질 영상 출력
성과
양화필름: 세부도화에 사용
밀착사진: 지상기준점(평면,표고)에 사용
확대사진: 지리조사에 사용 등
영상데이터 등
지상기준점 측량
항공삼각측량 작업에 필요한 기준점의 성과를 얻기 위하여 현지에서 실시하는 지상측량
- 측량방법 : 삼각측량, TS측량, GPS측량, Level측량
항공사진 종류별 지상기준점 측량 비교 설명
구분
아날로그항공사진
디지털항공사진
평면기준점 배치
블록의 외곽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되 촬영 진행방향으로 6모델마다 1점
촬영 직각방향으로 코스 중복 부분마다 1점씩 배치
촬영 진행방향으로 지상표본거리 12㎝ 이내일 때 평균 5.5㎞ 당 1점 이상,
지상표본거리 25㎝ 이상일 때 평균 11㎞ 당 1점 이상씩 배치하는 것을 원칙
표고기준점 배치
사진 상 1mm이상 크기로 나타나는 평탄한 위치, 블록의 외곽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되
각 촬영진행 방향으로 4모델 간격으로 1점,
촬영 직각방향으로 코스 중복부분마다 1점씩 배치
80화소 이상 크기로 나타나는 평탄한 위치,
촬영 진행방향으로 지상표본거리 12㎝ 이내일 때 평균 5.5㎞ 당 1점 이상,
지상표본거리 25㎝ 이상일 때 평균 11㎞ 당 1점 이상씩 배치하는 것을 원칙
항공삼각측량
도화기 또는 좌표측정기에 의하여 항공사진상에서 측정된 지점의 모델좌표 또는 사진좌표를 지상기준점 및 GNSS/INS 외부표정 요소를 기준으로 지상좌표로 전환시키는 작업
항공사진 종류별 항공삼각측량 비교 설명
구분
아날로그항공사진
디지털항공사진
점각
선점된 연결점 및 결합점은 항공사진 및 양화필름에 정확히 점각
자동매칭에 의한 방법으로 수행,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을 사용
관측
도화기를 이용할 경우 상호표정 후 잔여시차는 0.02㎜이내
X, Y의 각 교차가 0.5화소(pixel) 이내
세부도화
- 계획서 제출 후, 각종 축척 및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진 도화기 사용
- 아날로그항공사진의 내부표정은 4개 이상의 지표와 카메라 제원(초점거리, 렌즈왜곡수차 등)을 사용하나 디지털항공사진을 이용할 경우 생략 가능
- 세부도화에 표현되는 대상 및 기호는 항공사진촬영 당시의 지형ㆍ지물로 함
- 영속성이 없는 지형ㆍ지물이라도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 또는 지형ㆍ지물을 표현하지 않으면 표현상 불합리하게 되는 것 등은 표시
- 세부도화 되는 모든 데이터는 3차원 좌표(X, Y, Z)값이 존재하여야 함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
- 도화데이터의 출력도면을 야장으로 이용하여 정밀측량장비 등을 이용
- 법정지명, 행정지명, 동리명, 부락명, 인공지물명, 등 지명의 조사
- 도화에서 판독 및 묘사하지 못한 사항(사각지대 등)은 실측함
정위치/구조화 편집(수치지형도 제작)
- 수치도화성과를 기준성과로 이용하여 지리조사내용을 적용 편집함
- 모델단위의 도화Data를 도곽단위로 구성 및 인접처리
- 코드확인 및 부여, Data 구조상태 확인 및 보완편집
품질검사
- 정보의 완전성: 수치지도상의 지형ㆍ지물 또는 그에 대한 각각의 정보가 빠지지 아니하여야 함
- 논리의 일관성: 수치지도의 형식 및 수치지도상의 지형ㆍ지물의 표현이 작성기준에 따라 일관되어야 함
- 위치정확도: 수치지도상의 지형ㆍ지물의 위치가 원시자료(原始資料) 또는 실제 지형ㆍ지물과 대비하여 정확히 일치하여야 함
- 시간정확도: 수치지도 작성의 기준시점은 원시자료 또는 조사자료의 취득시점과 일치하여야 함
- 주제정확도: 지형ㆍ지물과 속성의 연계 및 지형ㆍ지물의 분류가 정확하여야 함
도면제작 편집(지형도 제작)
- 수치지형도를 가공하여 인쇄.출력용 원판.파일을 제작
- 도식적용규정에 준한 일반화, 상징화, 과장화
- 난외주기의 추가
정위치도면
도면제작
지도원도 제도 및 인쇄
- 각 지형.지물의 표시색별로 색 분리 제도
- 색분리하여 제도한 지도원도를 사용하여 색도별 인쇄
- 각 판별 구성
지도원도 각 판별 구성
구분
내용
흑색
도곽, 좌표, 인공지물, 지명 등
갈색
등고선, 표고수치, 제방 등
청색
수애선, 하천, 호수, 강명칭 등
적색
시가지, 포장도로 등
-
- [영문] >Key Activities>Geospatial Imagery Information>Aerial Photography
- ng over 30%
Altitude
2,000~3,000meters
No. of images possessed
1940-60s: 78,0911970-90s: 107,7632000-present: 709,018
NGII builds up the time series aerial photograph DB and orthogonal imagery DB to detect the change of land and geographical features.
The aerial photograph has been applied to the various systems such as internet portal maps, especially for use in civil affair documents.
[ Detecting the change of land and geographical features ]
직원정보
부서 |
성명 |
전화번호 |
담당업무 |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